반응형

경제기초상식모음 4

[경제 용어 반짝 상식_기초] 9.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의 차이는?

흔히 경제학을 '인간의 무한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말한다. 인간의 물질적인 욕망은무한한데비해 자원의 양은 제한되어 있고, 한정된 자원을 어떻게 배분하고 활용해야 하는지를 탐색하는 학문이 바로 경제학이다. 경제학의 대표적인 두가지 관점인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와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은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는지에 따라 나뉜다. 미시는 산에 올라가서 자세히 나무들을 살펴보는 것이라면 거시는 산 전체를 바라보는 것이다. 미시경제학은 경제활동의 주체인 가계(소비자)와 기업(생산자), 정부의 선택과 행동을 하나하나 구분해서 분석하고, 시장의 균형에 관심을 갖는다. 기업에서 생산량을 어떻게 ..

[경제 용어 반짝 상식_기초] 8. 레드오션, 블루오션, 퍼플오션이란?

경제 용어를 공부하다 보면 오션이(ocean)이 들어간 용어가 자주 보이는데요 레드오션(red ocean)은 '경쟁이 매우치열해 붉은 피로 물든 것 같은 시장'을 뜻합니다. 깊은 바닷속 상어 떼가 먹이를 낚아채려고 덤벼서 서로 물고 물리는 상황..! 레드오션은 산업이 이미 자리 잡은 상태에서 경쟁자가 많아 고객을 확봅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여햐 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인 블루오션(blue ocean)은 '푸른 바다'입니다. 현재 존재하지 않거나 잘 알려지지 않아서 경쟁자가 거의 없는 유망시장을 뜻합니다. 블루오션에서는 시장 수요가 경쟁이 아닌 창조에 의해 만들어지고, 시장 판도도 정해져 있지 않아서 사업에 매우 유리합니다. 퍼플오션(purple ocean)은 '보랏빛 바다'입니다. ..

[경제 용어 반짝 상식_기초] 7. 희소성(Scarcity)

희소는 '매우 드믈고 적다'는 뜻으로, 여기에서 나온 말이 희소성입니다.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희소성은 '인간의 물질적 욕구에 비해 그 충족 수단이 질적, 양적으로 제한돼 있거나 부족한 상태'라고 나와 있습니다. 모든 사람이 갖고 싶어 하지만 실제로 가질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할 경우, 그 물건의 가치는 그만큼 올라가게 마련입니다. 일부 기업에서는 사람들의 희소성 실미를 적극활용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한정판(limited edition) 제품을 들 수 있습니다. 소비자에게 '이번 기회가 아니면 다시는 구매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해 소비욕구를 자극하는 마케팅 기법입니다. 2019년 1월 조니워커 한정판인 '화이트 워커', 이탈리아 마세라티의 '콰트로포르테 스포츠 GTS..

[경제 용어 반짝 상식_기초] 6. 인구절벽

인구 절벽이라는 용어는 미국의 유명 경제학자 해리 덴트(Harry Dent)가 2014년에 발간한 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해리 덴트는 세계 금융시장의 주임지인 미국 월가(Wall street)가 가장 주목하는 경제 예측 전문가 중 한명입니다. 사회현상을 유심히 살펴보면 '절벽'이라는 용어가 많이 등장합니다. '재정', '소비', '고용' 등과 같은 경제현상에도 절벽이라는 단어가 붙습니다. 절벽은 '바위가 깎아 세운 것처럼 아주 높이 솟아 있는 험한 낭떠러지'를 뜻합니다. '희망이 없는 암담한 상황'을 비유하기도 합니다. 인구절벽도 말 그대로 낭떠러지에 이른 듯 인구가 '뚝' 떨어지는 현상을 뜻합니다. 해리 덴트는 인구절벽을 '생산가능인구(working age population) 비율이 급속히 줄어드는 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