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코딩 공부

코딩도장_파이썬 실수 계산하기

스콘노마드 2021. 10. 20. 08:13
반응형

1. 실수 사칙연산

파이썬에서 실수의 계산은 정수형과 다르지 않다

 

>>> 3.5 + 2.1
5.6

덧셈의 값인 5.6이 잘 출력되고 있다

 

>>> 4.3 - 2.7
1.5999999999999996
>>> 1.5 * 3.1
4.65
>>> 5.5 / 3.1
1.7741935483870968

여기서 특이한 점이 있는데 4.3-2.7의 결과이다. 1.6이 나오는 것이 아닌 1.5999999999999996출력되었다.

왜냐하면 컴퓨터는 실수를 표현할 때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오차는 다소 어려운 주제라 지금은 크게 신경 안써도 된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오차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하다.

 

2. 실수와 정수를 함께 계산하기

실수와 정수를 함께 계산하면 표현 범위가 더 넓은 실수로 계산된다.

 

>>> 4.2 + 5
9.2

 

3. 값을 실수로 만들기

float는 부동소수점(floating point) 에서 따왔으며 값을 실수로 만들어준다. 

즉, 실수는 float 자료형이며 type에 실수를 넣어보면 <class 'float'>가 나온다.

>>>type(3.5)
<class 'float'>

 

 

계산 결과에서 강제로 실수로 만들고 싶다면 float에 괄호를 붙이고 숫자 또는 계산식을 넣으면 된다.

float에 실수 또는 정수로 된 문자열을 넣어도 실수로 만들 수 있다.

 

>>> float(5) # 정수인 숫자 5를 실수형으로
5.0
>>> float( 1 + 2 ) # 계산식인 1+2를 실수형으로
3.0
>>> float('5.3') # 실수로 된 문자열 5.3를 실수형으로
5.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