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실수 사칙연산
파이썬에서 실수의 계산은 정수형과 다르지 않다
>>> 3.5 + 2.1 5.6 |
덧셈의 값인 5.6이 잘 출력되고 있다
>>> 4.3 - 2.7 1.5999999999999996 >>> 1.5 * 3.1 4.65 >>> 5.5 / 3.1 1.7741935483870968 |
여기서 특이한 점이 있는데 4.3-2.7의 결과이다. 1.6이 나오는 것이 아닌 1.5999999999999996이 출력되었다.
왜냐하면 컴퓨터는 실수를 표현할 때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오차는 다소 어려운 주제라 지금은 크게 신경 안써도 된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오차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하다.
2. 실수와 정수를 함께 계산하기
실수와 정수를 함께 계산하면 표현 범위가 더 넓은 실수로 계산된다.
>>> 4.2 + 5 9.2 |
3. 값을 실수로 만들기
float는 부동소수점(floating point) 에서 따왔으며 값을 실수로 만들어준다.
즉, 실수는 float 자료형이며 type에 실수를 넣어보면 <class 'float'>가 나온다.
>>>type(3.5) <class 'float'> |
계산 결과에서 강제로 실수로 만들고 싶다면 float에 괄호를 붙이고 숫자 또는 계산식을 넣으면 된다.
float에 실수 또는 정수로 된 문자열을 넣어도 실수로 만들 수 있다.
>>> float(5) # 정수인 숫자 5를 실수형으로 5.0 >>> float( 1 + 2 ) # 계산식인 1+2를 실수형으로 3.0 >>> float('5.3') # 실수로 된 문자열 5.3를 실수형으로 5.3 |
반응형
'파이썬 코딩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도장_파이썬 변수만들기, 변수 규칙, 변수할당, 변수 삭제, 빈 변수 만들기 (0) | 2021.10.21 |
---|---|
코딩도장_파이썬 연산자 산술연산자 종류, 계산우선순위 (0) | 2021.10.20 |
코딩도장_파이썬 값을 정수로 만들기, 객체의 자료형 알아내기, 진수 (0) | 2021.10.19 |
코딩도장_파이썬 숫자 계산하기 연산자 모음 (0) | 2021.10.19 |
파이썬 기본 문법 이것만 익히기(세미콜론, 주석, 들여쓰기, 코드블록) (0) | 2021.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