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코딩 공부

코딩도장_파이썬 변수만들기, 변수 규칙, 변수할당, 변수 삭제, 빈 변수 만들기

스콘노마드 2021. 10. 21. 08:08
반응형

1. 변수만들기

 

>>>x = 10

x = 10 값을 저장하는 변수 x가 생성됩니다.

변수이름 = 값 형식으로 변수가 생성되는 동시에 값이 할당됩니다.

 

 

2. 변수 규칙

변수 이름은 원하는 대로 지으면 되지만 규칙이 몇가지 있습니다.

 

- 영문 문자, 숫자 사용 가능

- 대소문자 구분 > A = 10, a = 10 이라는 변수가 각각 만들어 진다

- 문자부터 시작해야 하며, 숫자는 첫 자리에 올 수 없습니다.

- _(아래밑줄)로 시작이 가능합니다.

- 특수 문자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 파이썬의 조건문, 제어문, 반복문과 같은 예약어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 while, or, and, if, for 등)

 

 

3. 변수 할당

변수는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 문자열도 넣을 수 있습니다.

>>> x = 10, y = 'Hello, NomadScone!'
>>>x
10
>>>y
'Hello, NomadScone!'

 

 

4. 변수의 자료형 알아내기

파이썬에서는 변수의 자료형이 중요합니다. type을 사용하여 변수의 자료형을 알 수 있습니다.

 

>>>type(x)
<class 'int'>
>>>type(y)
<class 'str'>

x에는 정수 10이 들어있으므로 int, y에는 문자열 Hello, NomadScone!이 들어있으므로 str이라고 나옵니다.

즉, 변수의 자료형은 변수에 들어있는 값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5. 변수 여러개 만들기

>>>x, y, z = 10, 20, 30
>>>x
10
>>>y
20
>>>z
30

>>>X=Y=Z=10
>>>X
10
>>>Y
10
>>>Z
10

>>> a, b = 10, 20
>>> a, b = b, a   # b의 값을 a에, a의 값을 b에 대입
>>> a
20
>>>b
10

이렇게 활용하면 변수 여러개를 한번에 쉽게 만들기가 가능합니다.

 

1. 변수이름1, 변수이름2, 변수이름3 = 값1, 값2, 값3

2. 변수1 = 변수2 = 변수3 = 값  / 즉, 같은 값을 가진 변수 3개가 만들어집니다.

3. 변수1, 변수2 = 변수2, 변수1 / 변수의 두 값을 바꿀 수 있습니다.

 

6. 변수 삭제하기

>>> x = 10
>>> del x    # 변수x 삭제
>>> x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pyshell#2>", line 1, in <module>
    x
NameError: name 'x' is not defined 
>>> 

del을 사용하면 변수가 사라지게 됩니다.

변수 x가 사라졌기 때문에 x가 정의되지 않았다는 메시지와 함께 NameError가 발생합니다.

 

 

7. 빈 변수 만들기

>>> x = None
>>> print(x)
None
>>> x
>>>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음)

print로 변수 x의 값을 출력해보면 None이 나오는데 파이썬에서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

보통 다른 언어에서는 널(Null)이라고 표현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