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은 파이썬 셸을 통하여 입력한 코드의 결과값을 즉시 출력할 수 있다.
1.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파이썬의 숫자 자료형에는 정수(int), 실수(float), 복소수(complex)가 있다.
보통의 프로그래밍에서는 정수와 실수를 주로 사용한다.
파이썬IDLE를 실행하거나 콘솔(터미널, 명령 프롬프트)에서 파이썬을 실행하여 사칙연산이 가능하다
>>> 1 + 1 2 |
>>> 1 - 2 -1 >>> 2 * 2 4 |
>>> 5 / 2 2.5 |
5/2의 결과값이 파이썬 2와 파이썬3의 차이점이다. 2.5가 나오는 것이 당연한 결과일 수 있겠지만, 파이썬 2에서는 2.5가 아닌 2가 출력된다. 이것은 정수끼리 나눗셈 결과는 정수가 나오도록 정했기 떄문이다. 하지만 파이썬 3에서는 정수끼리 나눗셈을 해도 실수가 나오도록 되어있다.
>>> 4 / 2 2.0 |
4/2는 2가 아닌 2.0이 나왔다. 이렇게 파이썬 3은 나눗셈이 완전히 나누어 떨어져도 실수가 나온다.
※나눗셈 연산자 / 의 결과는 실수
※버림나눗셈 연산자 // 의 결과는 정수
2. 소수점 이하를 버리는 연산자 //
파이썬 3에서 정수끼리 나눗셈을 해서 정수가 나오게끔 하는 연산자가 바로 //이다.
>>> 4 / 2 2 >>> 5 / 2 2 |
//은 버림 나눗셈이라고 불린다. 나눗셈의 결과에서 소수점 이하는 버린다. 실수에 //연산자를 사용하면 결과는 실수가 나오고 소수점 이하는 버리게 되서 항상 .0으로 끝나게 된다.
※나눗셈 연산자 / 의 결과는 실수
※버림나눗셈 연산자 // 의 결과는 정수
3. 나눗셈 후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 %
나눗셈 후 나누어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나눈 후의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이다.
>>> 5 / 2 1 |
5를 2로 나누게 되면 몫은 2가 되고 1이 나머지가 된다. % 연산자를 모듈로 연산자라고도 부른다.
몫은 //(버림 나눗셈)로 구하고, 나머지는 %로 구한다.
4. 몫과 나머지를 함께 구하는 연산자 divmod
>>> divmod(5, 2) (2, 1) |
5를 2로 나누었을 때 몫은 2이고 나머지는 1이다. 이처럼 결과는 (2, 1) 형태로 나오게 된다.지금까지의 계산식은 숫자 1개만 출력됐지만 divmod는 (2, 1)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파이썬에서 값을 괄호로 묶은 형태를 튜플(tuple)이라고 하며 값 여러 개를 모아서 표현할 때 사용한다.
5. 거듭제곱을 구하는 연산자 **
>>> 2 ** 10 1024 |
1024 (2*2*2*2*2*2*2*2*2*2)
거듭제곱도 파이썬에서는 **기호로 쉽게 구할 수 있다.
'파이썬 코딩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도장_파이썬 변수만들기, 변수 규칙, 변수할당, 변수 삭제, 빈 변수 만들기 (0) | 2021.10.21 |
---|---|
코딩도장_파이썬 연산자 산술연산자 종류, 계산우선순위 (0) | 2021.10.20 |
코딩도장_파이썬 실수 계산하기 (0) | 2021.10.20 |
코딩도장_파이썬 값을 정수로 만들기, 객체의 자료형 알아내기, 진수 (0) | 2021.10.19 |
파이썬 기본 문법 이것만 익히기(세미콜론, 주석, 들여쓰기, 코드블록) (0) | 2021.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