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코딩 공부

코딩도장_파이썬 값을 정수로 만들기, 객체의 자료형 알아내기, 진수

스콘노마드 2021. 10. 19. 16:33
반응형

 

1. 값을 정수로 만들기

int는 정수(interger)를 뜻하며 값을 정수로 만들어준다. (소수점 이하는 버린다)

만약 계산 결과가 실수로 나오게 됐을 때 강제로 정수형을 만드는 방법이다.

int에 괄호를 붙이고 숫자 or 계산식을 넣으면 정수형이 된다. 

또 int에 정수로 된 문자열을 넣어도 정수로 만들 수 있다.

>>> int(3.3)  # 실수를 정수형으로
3
>>> int(5 / 2) # 계산된 값인 2.5(실수)를 정수형으로
2
>>> int('10') # 문자인 10을 정수형으로
10

 

2. 객체의 자료형 알아내기

지금까지 사용한 숫자가 정수가 맞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type을 사용한다.

type은 말 그대로 객체의 타입(자료형)을 알아내는 함수이다.

type에 괄호를 붙이고 10을 넣으면 'int'라고 나오는데 10이 정수 클래스라는 뜻이다.

파이썬에서는 숫자도 객체이며, 객체는 클래스로 표현한다

>>> type(10)
<class 'int'>

 

3. 2진수, 8진수, 16진수 표현하기

정수는 10진수 이외에도 2진수. 8진수, 16진수로 표현할 수 있다.

 

2진수: 숫자앞에 0b(영비)를 붙이며 0과 1로 표현

8진수: 숫자 앞에 0o(영오)를 붙이며 0부터 7로 표현

16진수: 숫자 앞에 0x나 0X(영엑스)를 붙이며 0부터 9, A부터 F까지 표현. 소문자 a부터 f도 가능

ㄴ(16진수에 알파벳이 사용된 이유는 10,11,12,13,14,15로 표현하게 되면 두자리라 1,0인지 10인지 구분이 안가기 때문)

 

>>> 0b11011
27
>>> 0o31
25
>>> 0xF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