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코딩 공부

파이썬 기본 문법 이것만 익히기(세미콜론, 주석, 들여쓰기, 코드블록)

스콘노마드 2021. 10. 19. 15:28
반응형

1. 세미콜론

 

일반적인 프로그램은 구문이 끝날 때 ;(세미콜론)을 붙여야 하지만 파이썬은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다.

세미콜론을 붙여도 문법 에러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보통 한 줄에 여러 구문을 사용할 때 세미콜론으로 구분.

 

print('Nomad'); print('Scone')

2. 주석

 

주석은 사람만 알아볼 수 있도록 작성하는 부분으로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처리하지 않고, 실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주석은 한 줄 주석과 블록 주석 두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줄 맨 앞부분에 #(샵)을 붙입니다

#Nomad Scone 출력하기
print('Nomad Scone')

Nomad Scone이 출력됩니다.

#print('Nomad Scone')

전체 문장이 주석처리가 되어서 출력이 안됌

print(1+2) #더하기

코드 뒤에 #으로 주석을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앞에 있는 코드만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 뒤에 있는 코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참고_한글주석 

파이썬3에서는 .py 스크립트 파일의 기본 인코딩이 UTF-8이라 스크립트 파일을 다른 인코딩(CP949, EUC-KR)으로 저장하면 실행을 했을 때 에러가 발생하는데, 스크립트 파일을 UTF-8로 저장하면 한글 주석이 사용 가능합니다.

 

3. 들여쓰기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대괄호로 구문을 분리하지만, 파이썬은 들여쓰기로 구문을 나누는 형태이다. 

그래서 들여쓰기가 굉장히 중요해진다.

if a == 50:
print('50입니다')

if문 다음 줄은 항상 들여쓰기를 해야하기 때문에 위 구문은 문법이 에러이다

if a == 50:
    print('50입니다')

올바른 구문

 

파이썬에서의 들여쓰기 방법은 스페이스 2칸, 4칸, 탭(tab) 등의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공백 4칸을 선호)

 

 

4. 코드 블록

코드 블록은 동작을 위해 코드가 모여 있는 상태를 뜻한다. 파이썬은 들여쓰기를 기준으로 코드 블록을 구성한다.

같은 블록은 들여쓰기 칸 수가 같아야 하고, 공백과 탭 문자를 섞아 쓰지 말아야 한다.

반응형